신생아에게 언제 장내 영양이 필요합니까? 신생아 미숙아의 경장 영양 미숙아에게 먹이는 방법.

I. I. 메벨로바

GBUZ "어린이 공화당 병원", Petrozavodsk

이 기사는 출생시 체중이 극소아 및 극소아인 미숙아를 위한 장내 영양 지원 접근 방식의 특징을 제시합니다. 미숙아에게 수유하는 현대의 관행은 재태 연령에 따라 어린이의 성장 속도를 가능한 한 자궁 내 성장에 가깝게 만들고 혈액과 조직의 영양분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장기와 시스템의 만족스러운 기능적 발달을 보장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주로 초유와 모유를 포함한 조기 장 영양은 소화관의 성숙, 감염성 합병증 예방, 괴사성 장염 및 기타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에 매우 중요합니다. 모유수유로는 미숙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다량의 영양소와 미량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없습니다. 이 기사는 모유 강화의 실제적인 측면을 제공합니다. 모유의 양이 없거나 부족한 것은 미숙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특수 분유의 사용을 나타냅니다. 적당히 가수분해된 단백질이 포함된 1단계 프리믹스 사용의 특징과 가능성이 제시됩니다.

미숙아, 장내영양, 모유, 극저체중, 극저체중, 자궁내 성장지연, 괴사성 장염, 기관지폐이형성증, 모유강화제

신생아학: 뉴스, 의견, 교육. 2016. 3호. P. 72-80.

최근 수십 년 동안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극저체중(ELBW) 및 극저체중(VLBW)을 가진 미숙아의 생존율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전문가들의 관심은 상당히 조산된 어린이의 장기적인 결과, 건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더 집중되어 있습니다. 축적된 증거는 장내 영양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심 초석임을 시사합니다. 자궁 내 정상적인 태아 성장은 예를 들어 30주부터 36주까지 매우 빠르게 진행됩니다. 자궁 내 기간 6주 이내에 태아 체중이 두 배로 증가하며 이는 상당한 조직 분화와 결합됩니다. 그리고 탯줄 영양 경로가 조기에 중단된다면 자연은 이러한 양적, 질적 성장을 따라잡기 위해 도전을 받아야 합니다. 동시에, 엄마 몸 밖의 미숙아는 자궁 안에서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ELBW와 VLBW가 있는 어린이의 영양소 요구량은 동일할 뿐만 아니라 태아의 요구량을 훨씬 초과합니다.

문헌 데이터에 따르면 ELBW 및 VLBW가 있는 아동의 대다수는 출생 후 체중 결핍이 있고, 아동의 1/3은 성장 결핍이 있으며, 자궁 내 성장 지연(IUGR)이 있는 미숙아에서는 신체 발달의 느린 역학이 관찰됩니다. 임신 적령기.

영양 섭취 부족(주로 IUGR이 있는 미숙아의 경우)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되는 기간이 지나면 소위 따라잡기 성장이라고 불리는 보상적인 성장 증가가 관찰됩니다. 따라잡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영양 지원입니다. 따라잡는 성장 속도가 없거나 낮은 어린이는 장래에 키가 작거나 인지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잡는 성장 속도가 높은 어린이는 성인이 되어 대사증후군, 비만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어린이에게 ELBW 및 VLBW를 먹이는 현대 임상 실습의 목표는 재태 연령에 따라 어린이의 성장 속도를 자궁 내 성장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고 혈액과 조직의 영양분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여 만족스러운 기능 발달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기관과 시스템.

출생 시 ELBW 및 VLBW가 있는 어린이에게 먹이를 줄 때 발생하는 어려움은 미숙아의 위장관(GIT)의 기능적 및 형태학적 특성과 빈번하게 수반되는 심각한 다발성 장기 병리 때문입니다.

미숙아의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빠른 세포 성장이 필요하고 단백질과 에너지가 많이 필요합니다.

■ 낮은 글리코겐 및 지방 보유량;

■ 제한된 운동성: 낮은 진폭, 조화되지 않고 불규칙한 위장 연동 운동;

■ 위액의 산성도 감소;

■ 단백질 분해 효소(주로 락타아제 및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 감소;

■ 장 점막의 구조적 특징, 밀착 접합, 장벽의 투과성 증가;

■ 위장관 내분비계의 특징.

이와 관련하여 ELBW 및 VLBW가 있는 미숙아는 장 영양에 대한 내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괴사성 장염(NEC) 및 자연 장 천공과 같은 심각한 상태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초유와 모유 등 초기 장내 영양 섭취가 소화관 발달, 감염 예방 및 NEC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은 이제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지연된 장내 영양은 미성숙 장의 점막 위축, 장 운동성 발달 지연, 호르몬의 흡수 및 분비 장애, 염증 반응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증가 방향으로 전환됩니다. 장 점막 위축의 결과는 박테리아 전이, 장내 미생물의 변화, 장벽 기능의 붕괴입니다. 장내영양의 지연 및 느린 증가는 비경구영양의 기간을 연장시켜 패혈증, 담즙정체, 혈전증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많은 연구에서 위장관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한 출생 후 장내 영양의 특히 중요한 역할이 확인되었습니다. 장 점막의 상피 세포에 영양분을 전달하면 성장 인자, 호르몬의 분비 및 신경 경로의 활성화가 자극됩니다.

실험적 및 임상적 증거에 따르면 태아 및 신생아 영양은 폐 성장과 발달을 크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동물 모델에서 출생 후 영양실조는 호흡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출생 시 EBLB 및 VLBW가 있는 인구 집단에서 만성 폐 병리(BPD) 발병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이노시톨, 도코사헥사엔산, 칼슘, 인, 비타민 A, E는 폐의 형태적 및 기능적 발달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유아의 비타민 D 결핍이 호흡기계 감염성 병리의 위험과 중증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입니다.

장내 영양의 신경 보호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중추신경계(CNS)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다량 및 미량 영양소에는 단백질, 포도당, 장쇄 고도불포화지방산, 철, 아연, 구리, 콜린, 비타민 A, B6, B12가 포함됩니다. 미숙아의 영양 결핍은 뉴런의 증식과 분화를 감소시킵니다. 뇌의 크기가 감소하고, 피질이 얇아지고, 수초화 과정이 느려지고, 희돌기아교세포, 성상교세포, 소교세포와 같은 신경교세포의 형태가 파괴됩니다.

영양 결핍은 신경전달물질의 농도와 수용체의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중추신경계의 신경전기생리학의 조절을 방해합니다.

영양의 신경 보호 효과는 또한 중추 신경계와 위장관 신경계(미생물총-장-뇌 축) 사이의 통신을 통해 항염증 효과, 국소 및 일반 면역의 자극을 통해 매개될 수 있습니다. 현재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좋은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요인은 아이의 높은 체중 증가율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그림 1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1.

이 연구에는 ELBW가 있는 490명의 어린이가 참여했습니다. NICU 신생아의 자궁 내 성장률이 높을수록 교정 연령 18~22개월에 신경학적 결과가 더 좋아졌습니다. 하루에 21g/kg의 체중 증가와 머리 둘레의 증가로 인해 뇌성마비 아동의 수가 8배 감소했습니다. 더욱이, 이 그룹의 소아에서는 NEC의 빈도가 5배, BPD의 빈도가 2배, 후기 신생아 패혈증의 빈도가 39% 감소했습니다.

25세 출생 시 VLBW 환자의 신경인지 상태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는 출생부터 임신 후 40주(PCA)까지의 빠른 성장 속도가 유리한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적 상관관계에 따르면, 유리한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는 변수는 머리 둘레의 증가였습니다.

오늘날 미숙아에게 먹이를 주는 가장 좋은 임상 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후 첫 시간(첫 6시간)부터의 최소 장내 영양은 "영양"입니다.

■ 장내 부하량의 급격한 증가 및 생후 7~14일까지 장내 영양의 최대량에 도달합니다.

■ 독점적 우선순위 - 모유, 영양량이 하루 80-100 ml/kg에 도달할 때 "성숙한" 모유를 강화합니다.

■ 모유가 없는 경우 - 기증 모유, 미숙아를 위한 특수 조제분유.

■ 장내 영양 평가의 주요 지표는 단백질 공급입니다(체중 증가율이 높을수록 신경학적 결과가 좋을 것이라는 예측 인자입니다).

■ 미숙아의 특별한 임상적 상태(BPD, 담즙정체 증후군, 대사성 뼈 질환, 위식도 역류)를 고려하십시오.

현재 ELBW 및 VLBW 아동을 포함하여 출생 시 신생아의 경장 영양 조기 투여에 대한 금기 사항이 상당히 축소되었습니다. 금기사항:위장관 폐쇄, 위장관 수술의 필요성, NEC, 위장관 출혈. 장내 영양의 시작 또는 일시적 취소의 일시적인 지연에 대한 표시:소생술 조치, 산-염기 보상부전, 쇼크, 무뇨증. 장내 영양에 대한 내성 감소의 위험 요인:질식, 태아 제대 동맥의 이완기 혈류 0 또는 역행, 패혈증, 제대 정맥 또는 동맥 카테터의 존재, 심한 IUGR, 저체온증, 혈역학적으로 중요한 동맥관 개방증,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사용한 치료.

미숙아를 위한 장내영양의 현대적 물류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ELBW 및 VLBW가 있는 어린이에게 모유수유를 하는 것은 신생아 영양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입니다. 분만실에서 출산한 후 또는 아기가 신생아 집중 치료실로 옮겨진 직후 아기의 뺨에 초유 몇 방울을 떨어뜨립니다. 첫 번째 수유와 이후의 영양량 증가 속도에 대한 결정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적어도 1-2일 이내에 생후 첫 6시간 동안 장내 수유 시작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생의. 어쨌든, 장내 영양 시작이 72시간 지연되면 "늦은 시작"으로 간주되며 이는 그림 1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다음 단계는 장 확장의 안전한 양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루 15~30ml/kg의 양이 안전한 것으로 권장됩니다. NEC 빈도의 증가가 없을 때 최고의 체중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미숙아 엄마의 모유에 단백질과 칼로리 함량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완전 모유수유는 출생 시 EBLB와 VLBW가 있는 아이에게 주로 단백질, 칼슘, 인과 같은 영양분에 대한 높은 필요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체중, 대사성 뼈 질환(골감소증), 영양 결핍과 관련된 심각한 장애(표 1).

따라서 최신 권장사항에 따르면 출생시 체중이 1000g 미만인 어린이의 경우 장을 통해 영양소를 섭취할 경우 하루 4~4.5g/kg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되며 체중은 1000~1800g입니다. - 하루 3.5-4 g/kg, 칼슘 요구량 - 하루 120-140 mg/kg, 인 - 하루 60-90 mg/kg.

모유(강화 및 비강화)와 영양식(요약 데이터)의 칼슘, 인, 비타민 D의 비교 함량이 표에 나와 있습니다. 2.

모유 강화에는 표준 강화와 개별/통제 강화의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표준 강화는 모유의 개별 구성이나 강화에 대한 대사 반응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개별화된 요새화를 목표로 삼고 통제할 수 있습니다. 표적 강화는 모유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모유 구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러시아에서는 아직 일상적인 실행이 불가능합니다. 통제된 강화는 혈액 내 요소 및 요소질소(BUN)를 측정하여 대사 반응에 따라 수행됩니다. 통제된 강화의 장점은 단백질 요구량에 초점을 두지 않지만 과도한 단백질 섭취를 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어린이의 체중<1800 г.

■ 강화제는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을 함유해야 합니다.

■ 강화제를 이용한 모유수유는 병원 내 아이의 적절한 성장을 보장해야 합니다.

■ 표준 요새화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 아이가 적절하게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개별화된 강화가 사용됩니다.

■ 목표 요새와 통제 요새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분대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다름).

러시아 연방에는 현재 100% 가수분해유청단백질, 콜린, 이노시톨, 탄수화물(유당, 말토덱스트린), 미네랄(Ca, P, Mg, Fe, Cu, Na, K, CE, Zn, Mn, I), 비타민(A, D, E, K, B 1, B 2, C, 니아신, B 6, 엽산, 판토텐, B 12, 비오틴). 모유 강화제 생산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선호하는 이유는 가수분해된 단백질이 모유에 더 잘 용해되고 소화가 더 쉬우며 미숙아의 미성숙 신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모유 강화는 체중이 1,800g 이하이고 재태 연령이 34주 이하인 미숙아 및/또는 출생 후 영양실조(<10-го перцентиля). Обогащается только "зрелое молоко", т.е. не ранее 12 сут жизни, обогащение молозива и переходного молока не проводится ввиду их изначально высокой осмолярности за счет большего содержания белка и натрия. Вопрос, с какого объема энтеральной нагрузки начинать обогащение,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стается открытым. В национальном протоколе рекомендуется начинать обогащение грудного молока при достижении объема пи­тания 100 мл/кг. При хорошей переносимости энтеральной нагрузки и возможности поступательно увеличивать объем питания обогащение может быть начато несколько позже, после достижения объема 150 мл/кг. Вместе с тем последн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казывают, что назначение фортификатора раньше, даже при суточном объеме молока 20 мл/кг, не ока­зывает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влияния на переносимость питания и частоту НЭК . В первый день обогащения грудного моло­ка добавляется 1 / 4 - 1 / 2 от рекомендуемой дозы фортификато­ра. В дальнейшем, при отсутствии признаков непереносимо­сти питания, рекомендуется "полное" обогащение согласно инструкции производителя .

모유를 강화하는 기간에 대한 질문이 남아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권장 사항은 다양합니다. 국가 임상 권장 사항에 따르면 - 적응증에 따라 아동의 영양 상태를 고려하여 최대 52주 동안 PCV를 투여합니다(어린이의 체중<25-го перцентиля с учетом скорригированного возраста) можно использовать дольше . В любом случае необходим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подход с учетом антропометрических дан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общего белка, альбумина мочевины, электролитов, щелочной фосфатазы в анализе крови.

모유의 양이 없거나 부족한 것은 미숙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특수 분유의 사용을 나타냅니다. 미숙아의 인공수유를 위한 단계별 계획이 권장됩니다.

1단계 예비분유(스타터)는 어린이에게 체중을 공급하기 위한 것입니다.<1800 г, смесь II этапа (по­следующая) для вскармливания детей с массой тела 1800 г и более. Критерии перевода на смесь II этапа: ПКВ ребенка 40 нед, масса тела 1800 г и более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того, что наступит раньше), стабильная положительная динамика фи­з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масса тела не менее 25-го перцентиля соответственно ПКВ .

병원 단계에서는 기성 액체 멸균 특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제품의 장점은 무균성, 인적 요인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삼투압의 일관성이 건조 혼합물에 비해 오염 위험이 낮다는 것입니다. . 직원 시간과 인건비가 절약됩니다.

미숙아에게 먹이는 분유의 구성은 단백질 양이 증가하고 타우린 함량이 높아야하며 유청 단백질이 카세인보다 우세해야합니다. 카세인이 우세하면 단백질 흡수가 낮아지고 아미노산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성숙한 어린이에게 먹이를 줄 때는 유청 단백질이 우세한 혼합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에너지 비율은 매우 중요합니다(표 3).

현재 러시아 연방에서는 병원 단계에서 미숙아의 초기 수유를 위해 새로운 멸균 기성 액상 제품인 'PreNAN Stage 0'이 등록되었습니다. 혼합물에는 100% 유청, 적당히 가수분해된 단백질 2.88g/100ml, 단백질/에너지 비율 3.6g/100kcal(미숙아의 단백질 요구량에 대한 ESPGHAN-2010 권장 사항에 해당), 칼로리 함량 80kcal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0ml, 혼합물에는 모유 수준까지 타우린이 풍부합니다.

미숙아, 특히 ELBW 및 VLBW 아동에게 먹이기 위해 유청 단백질과 동일한 100% 약간 가수분해된 유청 단백질을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습니까? 유청 단백질에는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티로신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소화가 더 쉽고 위에서 빠르게 배출됩니다.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또한 소화가 더 쉽고 빠르며 응결 가능성이 낮고 혈전 형성이 촘촘하므로 장폐색 위험이 감소하고 위 배출이 더 빨리 발생하여 역류 및 흡인 가능성이 감소하고 더 부드러운 변이 형성되고 장내 영양분의 양을 조기에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적당히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저자극성입니다.

혼합물에는 균형 잡힌 탄수화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약 40%는 건강한 장내 미생물 형성에 필수적인 유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0%는 삼투압을 낮추고 NEC 예방에 도움이 되는 말토덱스트린입니다.

혼합물의 지방 성분은 40%로 지방 흡수 과정을 촉진하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와 주로 임신 3분기에만 자궁에 축적되는 장쇄 지방산(LC-PUFA: DHA, ARA)으로 구성됩니다. 임신 중에 인지 발달과 시각 기능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항염증 효과가 있습니다. 혼합물은 리놀레산(Ω-6)과 α-리놀렌산(Ω-3) 지방산의 최적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방 성분은 유지방이며, 식이성 콜레스테롤의 공급원입니다. "PreNAN Stage 0"의 총 지방 함량은 ESPGHAN-2010 권장 사항(4g/100ml 또는 5g/100kcal)에 해당합니다.

만삭 영아부터 미숙아까지의 맞춤형 조제분유는 PCV(아동 체중 >25 백분위수를 고려하여)에 따라 영양소에 대한 생리적 필요량을 제공하는 용량으로 체중 "3000g에 도달할 때 가능합니다." 수정된 연령) 만삭아를 위한 조정된 조제분유는 2단계 예비조제분유와 만삭아에게 먹이기 위한 조제분유를 결합하여 점진적으로 투여됩니다. 수정된 PCV를 통한 성장 역학뿐만 아니라 제제 용량의 내성 및 결핍 상태의 존재.

신생아 영양, ELBW 및 VLBW가 있는 미숙아의 장내 영양 공급은 복잡하지만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그 해결책은 태아와 신생아의 생리학 및 병리학에 대한 현대 과학 지식, 능력을 이해하는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생존율 향상,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예방, 최적의 성장 역학을 목표로 하는 미성숙 아동.

장내 영양의 개시 및 확장을 위한 알고리즘, 영양 기질, 투여 방법 및 방식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신생아과에 존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최대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조산아에게 먹이를 주는 기술은 미래의 성인 생활과 다음 세대의 삶에 대한 대사 프로그래밍입니다.

이네사 이사코브나 메벨로바

학위/등급: 최고 자격 카테고리의 신생아 전문의, 카렐리아 공화국 명예박사

직위 : 신생아센터장

근무지: 페트로자보츠크 주 예산 기관 "어린이 공화당 병원"

이메일: inmebelova@mail. 루

문학

1. Cristofalo E.A., Schanler R.J., Blanco C.l. 등 극미숙아를 대상으로 인간 모유와 조산식 식이요법을 비교한 무작위 시험 // J. Pediatr. 2013. Vol. 163, N 6. P. 1592-1595.

2. Kudsk K.A. 점막 면역학의 현재 측면과 영양에 의한 영향 // Am. J.Surg. 2002. Vol. 183, N 4. P. 390-398.

3. Tauzin l., et al. 조기에 태어난 젊은 성인의 전신 혈압 증가 및 동맥 경직 // J. Dev. 원본 건강. 디스. 2014. Vol. 5, N 6. P. 448-452.

4. Baird J., Fisher D., Lucas P., Kleijnen J. 외. 커지거나 빠르게 성장함: 유아기 및 후기 비만의 크기 및 성장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 BMJ. 2005. Vol. 331. P.929.

5. 루카스 A., 콜 T.J. 모유 및 신생아 괴사성 장염 // 란셋. 1990. Vol. 336. P. 1519-1523.

6. Dani C., Poggi C. 영양 및 기관지폐 형성이상 // J. Matern. 태아 신생아 Med. 2012. Vol. 25, 공급. 3. P. 37-40.

7. 존슨 T.J. 극저체중 출생 영아의 NEC 발병률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서의 모유 절약 비용 // 신생아학. 2015. Vol. 107. 페이지 207.

8. 코펠레인 W.E. 외. 저체중 출생 영아의 심각한 감염 및 사망률에 대한 기증 우유의 영향 : 조기 영양 무작위 임상 시험 // JAMA Pediatr. 2016. Vol. 170, N 7. P. 654-661.

9. Abitbol C.l., 로드리게스 M.M. 미숙아의 장기적인 신장 및 심혈관 결과 // Nat. 신부님. 네프롤. 2012. Vol. 8, N 5. P. 265-274.

10. Sanjay S. 미숙아를 위한 영양 및 임상적 관점. 2013.

11. 맥과이어. // 체계적인 리뷰의 Cochrane 데이터베이스. 2008. 이다. 2.

12. Klingenberg S., Embleton N.D. Jacobs Sue E. 외. 매우 미숙아의 장내 수유 관행: 국제 조사 // Arch. 디스. 아동 태아 신생아 Ed. 2012. Vol. 97. P. F56-F61.

13. Riezzo G., Indrio F., Montagna O. 외. 표준 및 가수 분해물 수식을 먹인 조산 신생아의 위 전기 활동 및 위 비우기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01. Vol. 33, N 3. P. 290-295.

14. Isaacs E.B., Morely R., Lucas A. 임신 30주 이하로 태어난 어린이의 청소년기 초기 식단 및 일반적인 인지 결과 //J. 소아과 2009. Vol. 155. P. 229-234.

15. Carobotti M., Scirocco A., Severi C. 장뇌 축 : 장내 미생물, 중추 및 장 신경계 간의 상호 작용 // Ann. 위장관. 2016. Vol. 29, N 2. P. 240.

16. Arslanoglu S., Moro G.E., Ziegler E.E.; WAPM 영양 실무 그룹. 미숙아를 위한 모유 강화 최적화: 새로운 개념 및 권장 사항 // J. Perinat. 메드. 2010. Vol. 38. P. 233-238.

17. Mihatsch W.A., Franz A.R., Hogel J., Pohlandt F.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매우 낮은 출생 체중 영아의 수유 진행을 가속화합니다 // 소아과. 2002. Vol. 110. P. 1199-1203.

18. Senterre T., Koletzko B., Poindexter B., Uauy R. (eds). 미숙아의 영양 관리 : 과학적 근거 및 실제 지침 // World Rev. 너트. 다이어트. 2014. Vol. 110. P. 201-214.

19. Sammallahti S., Pyhala R., Lahti M. 외. 조산 후 유아 성장 및 청년기의 신경인지 능력 // J. Pediatr. 2014. Vol. 165, 이다. 6. P. 1109-1115.

20. Baibarina E.N., Degtyarev D.N. 및 기타 신생아학에 대한 선별된 임상 권장 사항. M.: GEOTAR-미디어, 2016. pp. 103-126.

21. Raban MS, Joolay Y. 외. 남아프리카의 미숙아에 대한 장내 수유 관행 // S. Afr. J.CH. 2014. Vol. 7, N 1. P. 8-12.

22. Agostoni C., Buonocore G., Carnielli V.P. 외. 미숙아를 위한 장내 영양분 공급: 유럽 소아 위장병학회, 간장학 및 영양 영양 위원회의 논평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10. Vol. 50. 페이지 85-91.

23. Meinzen-Derr J., Poindexter B., Wrage l., Morrow A.l. 외. 극저체중 출생아에서 모유의 역할" 괴사성 장염 또는 사망 위험 // J. Perinatol. 2009. Vol. 29. P. 57-62.

24. Joss-Moore L., Carroll T., Yang Y. 외. 자궁 내 성장 제한은 폐포 형성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고 암컷 쥐 새끼의 폐에서 레티노산 수용체 발현을 방해합니다 // Pediatr. 결의안. 2013. Vol. 73. P. 612-620.

25. Moro G.E., Arslanoglu S., Bertino E. 외. 미숙아에게 먹이를 주는 모유: 전통에서 생명공학에 이르기까지 합의 개발 회의 진행 - EXPO2015, 밀라노, 이탈리아, 5월 15-16일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15. Vol. 61, 보충. 1.P.1.

26. Stewart C.I., Mars E.C.l., Maganian S., Nelson A. et al. 조기 장내 미생물군: 괴사성 장염 및 감염과 관련된 변화 // Acta Paediatr. 2012. Vol. 101. P. 1121-1127.

27. Neu J. 위장 발달 및 미숙아의 영양 요구 충족 // Am. J. 클린. 너트. 2007. Vol. 85. 페이지 629S-634S.

28. Ehrenkranz R.A., Dusick A.M., Vohr B.R., Wright l.l. 외.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성장은 극저체중 출생 영아의 신경 발달 및 성장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 소아과. 2006. Vol. 117. P. 1253-1261.

29. Corpeleijn W.E., Kouwenhoven S.M., Paap M.C. 외. 생후 첫 며칠 동안 모유 섭취는 출생 후 첫 60일 동안 극소 저체중 영아의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 신생아학. 2012. Vol. 102, N 4. P. 276-281.

30. Shah S.D., Dereddy N., Jones T.l., Dhanireddy R. 외. 극저체중 출생아의 모유 강화 조기 대 지연 - 무작위 대조 시험 // J. Pediatr. 2016. Vol. 174. 페이지 126-131.e1.

31. Koletzko B., Poindexter B., Uauy R. (eds). 미숙아의 영양 관리 : 과학적 근거 및 실제 지침 // World Rev. 너트. 다이어트. 2014. Vol. 110. P. 1-3.

32. 맥스웰 C.S. 카본 E.T. 우드 R.J. 더 나은 신생아 비타민 D 상태는 유아의 RSV 관련 세기관지염을 낮춥니다 // Nutr. 결의안. 2012. Vol. 70. P. 548-552.

33. Groh-Wargo S., Sapsford A.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미숙아의 경장 영양 지원 // Nutr. 클린. 실습 2009. Vol. 24, N 3. P. 363-376.

34. Narogan M.V., Ryumina I.I., Stepanov A.V. 미숙아의 골감소증(대사성 뼈 질환): 진단, 치료 및 예방 가능성 // 신생아학: 뉴스, 의견, 교육. 2014. No. 3. P. 77-83.

35. Ehrenkranz R. A., Koletzko B., Poindexter B., Uauy R. (eds). 미숙아의 영양 관리 : 과학적 근거 및 실제 지침 // World Rev. 너트. 다이어트. 2014. Vol. 110. P. 27-48.

36. Hartel C., Haase B., Browning-Carmo K., Gebauer C. 외. 장내 수유 개선이 극저체중 출생 영아의 단기 결과에 영향을 줍니까?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09. Vol. 48. P. 464-470.

37. Kubota A. et al. 극저체중 신생아의 태변 관련 장폐색: 조직학 및 방사선학의 병인학적 고려 사항 // Pediatr. 국제 2011. Vol. 53. P. 887-991.

38. Bensley J.G., De Mateo R., Harding R. 외. 조산과 그 선행 요인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 Acta Obstet. 지네콜 스캔드. 2016. Vol. 95. P. 652-663.

39. Cooke R. 조산아 및 재태 연령 영아의 출생 후 성장 및 발달. 건강과 발달을 위한 성장의 중요성 // Nestle Nutrition Institute 워크숍 시리즈 소아과 프로그램. 2010. Vol. 65. 페이지 85-95.

40. Neu J. 위장병학 및 영양: 신생아학 질문 및 논쟁. 2판 필라델피아, 2012. 1-4장.

41. Arslanoglu S., Corpeleijn W. 외. ESPGHAN 영양위원회; 미숙아를 위한 기증 모유: 현재 증거 및 연구 방향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13. Vol. 57. P. 535-542.

42. 지글러 E.E. 극저체중 출생아의 단백질 요구량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07. Vol. 45, 공급. 3. P.S170-S174.

43. Stettler N., Iotova V. 초기 성장 패턴 및 장기 비만 위험 // Curr. 의견. 클린. 너트. 메타탭. 케어. 2010. Vol. 13. P. 294-299.

44. Ramel S.E., Georgieff M.K., Koletzko B., Poindexter B. 외. (편집). 미숙아의 영양 관리 : 과학적 근거 및 실제 지침 // World Rev Nutr. 다이어트. 2014. Vol. 110. P. 190-200.

45. Arslanoglu S. 미숙아를 위한 모유 강화 최적화: 새로운 개념 및 권장 사항 // J. Perinat. 메드. 2010. Vol. 38. P. 233-238.

46. ​​​​Janeczko M., Burrin D.A. 신생아 위장관의 영양 요인 // 위장병학 및 영양 / ed. J. Neu. 필라델피아: 손더스; 엘스비어, 2008. P. 121-134.

47. Szajewska H., Albrecht P., Stoitiska B. 외. 광범위하고 부분적인 단백질 가수분해물 조기 분유: 성장률, 단백질 대사 지수 및 혈장 아미노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J. Pediatr. 위장관. 너트. 2001. Vol. 32. P. 303-309.

48. Skvortsova V.A., Borovik T.A., Netrebenko O.K. 미숙아의 영양 장애 // Vestn. 현대화하자 쐐기. 약. 2013. T. 6호. 6. 90-95면.

49. Corvaglia L., Mariani E. 외. 광범위하게 가수분해된 단백질 제제는 증상이 있는 조산아의 위식도 역류를 감소시켰습니다 // Early Hum. 개발. 2013. Vol.89. P. 434-435.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과학적 및 방법론적 자료

미숙아의 경장 영양공급*

I.I. 류미나, M.V. 나로건, E.V. 그로셰바, D.N. 데그티야레바

* 연방 주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출산 전후 과학 센터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소개

경장영양제는 경구(유두, 수유), 튜브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영양분(모유, 미숙아 전용 조제분유, 우유/아미노산 조제분유)을 위장관을 통해 전체 또는 일부 투여하는 영양지원의 일종이다. 및 수술(위루술, 공장루술, 식도루술).

완전한 장내 영양. 장내 영양은 모든 영양소가 위장관을 통해 투여되고 실제 체중, 임신 후 연령 및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어린이의 생리적 요구에 부합할 때 완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부분적인 장내 영양. 장내 투여된 영양소가 어린이의 생리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비경구 경로를 통한 영양소 투여를 통한 보충이 필요한 경우 경장 영양은 부분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경장 영양에 대한 적응증(A)

다음을 제외하고 체중, 임신 연령 및 상태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모든 미숙아에게 경장 영양이 적용됩니다.

경장영양에 대한 금기 사항(A)

■ 긴급한 수술이 필요한 위장관 기형.

■ 다음이 필요한 중추 혈역학 장애:

■ 소생 조치 수행;

■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고용량의 혈관수축제 투여;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약물 투여.

신생아에게 수유를 연기해야 ​​합니다

혈역학이 안정될 때까지 24~48시간 동안.

■ 이부프로펜 치료 또는 수술 교정이 필요한 혈역학적으로 심각한 동맥관 개존증.

치료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경장 영양 섭취를 연기해야 ​​합니다.

■ 출생 시 심각한 질식(생후 5분에 3점 이하의 Apgar 점수, 심각한 대사성 산증, 경련, 다발성 장기 부전을 포함한 신생아의 심각한 상태).

장내 영양 공급은 최소 24~48시간 동안 지연됩니다.

■ 위/장 출혈.

장내 영양은 최소한 지연됩니다.

24시간 이상

■ 괴사성 장염.

장내 영양 재개 시기는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다르며 해당 병리가 있는 어린이의 관리에 대한 임상 권장 사항에 따라 규제됩니다.

■ 심각한 위장 기능 장애 징후(심각한 팽만감, 연동 운동 부족, 위장 내 병리학적 내용물).

■ 저체온증(관리 불량으로 인한), 체온 36.5℃ 이하).

■ 저산소혈증.

마지막 세 가지 경우의 경장 영양 처방 또는 재개는 아동의 임상 상태에 따라 수행됩니다.

조기 장 영양은 생후 첫 72시간 이내에 수유가 시작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첫 수유 시기와 최초 수유량에 따라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아기 상태의 심각도가 결정됩니다.

조기 경장 영양의 이점(A):

■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여 위장관(GIT)의 발달을 촉진하고 점막 위축의 발생을 예방합니다.

장, 음식 부하의 후속 증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킵니다.

■ 완전한 경장 영양의 빠른 달성을 촉진하고, 비경구 영양 기간과 중심/말초 정맥 카테터의 기능을 줄이고 감염성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입니다.

■ 총 비경구 영양 공급 기간을 줄여 담즙정체 발병 가능성을 줄입니다.

■ 환자의 입원 기간, 치료 및 간호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영양 기질을 도입하는 방법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는 모유수유가 가능합니다.

■ 임신 후 연령(PCA)이 34주 이상, 안정적인 상태에서도 PCA가 32주 이상인 아이에게 모유 수유가 가능합니다.

■ 체중 1500g 이상;

■ 삼키는 것과 조화를 이루는 빨기 반사;

■ 호흡 장애 및 호흡 지원이 없습니다.

젖꼭지를 통한 젖병 수유. 32주가 넘는 미숙아에게는 체중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젖병을 먹일 수 있습니다.

■ 삼키는 것과 조화를 이루는 빨기 반사가 있는 경우;

■ 호흡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호흡 부전이 있는 경우.

튜브 공급이 표시됩니다.

■ 미숙아<32 нед ПКВ, независимо от массы тела при рождении;

■ 미숙아 >32주 PCV: 체중에 관계 없음:

■ 비효과적인 빨기;

■ 삼키는 것과 빨기 반사의 조화가 부족합니다.

■ 호흡 장애 > Silverman 척도에서 1점;

■ 호흡 지원의 필요성;

■ 상부 소화관이 부분적으로 막힌 경우.

호흡 문제의 발병 또는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입위관이 선호됩니다.

영양분의 튜브 투여는 주기적 및 연속 모드로 수행됩니다.

■ 연속(장기) - 24시간 동안 중단 없이 일일 장 영양분을 투여합니다.

■ 주기적(점적 또는 볼루스) - 장내 영양분의 일일 투여량

24시간 동안 휴식 간격을 두고 진행됩니다. 투여 빈도, 단일 투여 기간, 수유 간격 및 각 후속 수유량은 각 어린이에 대해 의사가 설정합니다.

점적 영양을 실시할 때 지방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장내 기질이 있는 저장소를 펌핑 시스템 평면에 대해 450도 각도로 배치해야 합니다.

주기적인 먹이주기 옵션 중 하나는 영양 기질이 2ml/min을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또는 중력에 의해 주사기를 사용하여 천천히 주입되는 볼루스 먹이기입니다.

VLBW 및 ELBW가 있는 어린이의 경우 간헐적으로 점적 수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내 기질(B)을 주입하는 주기적인 점적법의 장점.

■ 스트레스성 궤양 및 미주신경 반응의 형성을 예방합니다.

■ 흡인 및 위팽창의 위험을 줄입니다.

■ 에너지 손실을 줄입니다.

■ 영양 흡수를 촉진합니다.

수술방법(위루술, 공장루술,

식도절개술)은 상부 위장관이 완전히 막힌 경우에 사용됩니다.

미숙아의 영양(최소 장내) 영양(A)

최대 25ml/kg/일의 장내 기질을 영양 영양(최소 장내 영양) 투여합니다. 필요한 수분, 영양소 및 에너지 공급을 계산할 때 영양 영양의 양은 고려되지 않습니다.

영양 영양 공급의 시작은 신생아에게 표시됩니다.

■ 임신 연령이 있는 경우<32 нед;

■ 출생시 체중에 따라<1500 г.

영양 영양 중 잔류 위 내용물의 부피는 단일 부피를 초과할 수 있으며 위장 운동 이상증의 다른 징후 및 감염성 중독증의 징후가 없으면 병리학적이지 않습니다.

위장 운동 이상증의 다른 징후 및 감염성 중독증의 징후 없이 영양 영양 동안 담즙으로 잔여 위 내용물을 염색하는 것은 장내 영양량 증가에 대한 금기 사항이 아닙니다. 생후 1~2주의 미숙아에서 분리된 형태로 나타나는 이 징후는 위장 운동이 미성숙하기 때문입니다.

일정 기간 영양을 공급한 후에는 음식 섭취량을 10~25ml/kg/일(A) 늘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일일 영양량이 영양량을 초과하는 잔여 위 내용물의 양(일일 섭취량의 최대 1/3)은 표준의 변형입니다.

위장 운동 이상증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잔여 위 내용물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는 없습니다. 잔여 위 내용물을 적극적으로 흡인하는 것은 금기입니다.

NCPAP 시행 시 공기 연하증과 복부팽만감을 예방하기 위해 수유 5분 전에 튜브를 여는 것이 좋습니다.

구위관/비위관은 일주일에 한 번씩 교체됩니다.

경구용 약물은 장내 영양량이 80ml/kg/일 이상인 경우 처방됩니다.

영양 기질

미숙아에게 선호되는 장내 영양 제품은 천연 ​​모유(A)입니다.

천연 우유의 장점:

■ 모든 보호 요소를 보존합니다.

■ 더 빠른 위 배출을 촉진합니다.

■ 지방 흡수가 향상됩니다.

■ 위장 운동을 자극합니다.

■ 괴사성 장염의 위험을 줄입니다.

■ 중증 기관지폐 이형성증 및 미숙아 망막병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

■ 더 나은 정신 운동 및 지적 발달을 제공합니다.

모유가 성숙되는 과정에서 에너지 값, 단백질 및 미네랄 구성이 감소하여 미숙아의 높은 생리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강화제를 사용하여 모유를 풍부하게해야합니다.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을 추가로 첨가하여 모유의 영양가를 높여주는 복합제품입니다.

모유 강화에 대한 적응증(A):

■ 출생 체중<1800 г;

■ 재태 연령<32 нед;

■ 생후 2주 이상에 출생 후 영양실조가 나타납니다.

모유 강화 조건 및 규칙

■ 모유 강화는 일일 장내 영양량이 80ml/kg에 도달할 때 수행됩니다.

■ 초유와 과도유의 농축은 성숙유에 비해 단백질과 나트륨 함량이 높기 때문에 처음에는 삼투압 농도가 높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 생후 12일 이후에 합성되는 성숙한 우유만이 완전 농축됩니다. 성숙한 모유의 강화는 삼투압을 400mOsm/kg까지 증가시킵니다.

위장운동이상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강화 중 모유의 삼투압 증가는 강화제 추가 시작 후 20분 이내에 발생하며 다음 24시간 동안 삼투압은 변하지 않으므로 수유 시간을 줄이고 식단을 변경해도 모유 수유를 예방할 수 없습니다. 영양 기질의 삼투압 증가로 인한 위장 운동 이상증의 가능성.

■ 모유 강화 첫날에는 강화제 권장량의 1/4~1/2을 첨가합니다. 또한, 영양 불내증의 징후가 없는 경우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완전한 강화가 권장됩니다.

모유가 없는 상황에서 조산아를 위한 대체 식품은 조산아와 저체중아를 위한 특수 분유이며, 현재 액상형과 건식의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됩니다. 신생아에게 먹이기 위한 기성 멸균 액상 특수 분유는 오염 가능성을 제거하고 정확한 구성이 보장되므로 건식 분유보다 유리합니다. 미숙아를 위한 분유는 기본 다량 영양소의 함량, 주로 단백질 함량이 다르므로 영양소에 대한 생리적 요구와 어린이가 흡수할 수 있는 장내 영양의 양에 초점을 맞춰 필요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삭아를 위한 맞춤형 분유 처방은 체중이 3000g에 도달하면 대략 가능하지만, 소화 가능한 양이 영양분에 대한 생리학적 요구를 충족하고 아동의 신체 발달 지표가 교정된 연령과 일치하는 경우에 가능합니다.

우유 단백질에 대한 불내증이 있는 미숙아와 NEC 이후에는 고도로 가수분해된 단백질이 함유된 분유를 권장합니다. 가수분해된 단백질을 함유한 분유를 미숙아에게 먹이기 위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함량이 낮아 미숙아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단백질 성분으로 유리 아미노산을 함유한 혼합물은 미숙아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미네랄과 비타민 함량이 낮기 때문에 출발 및 주요 장내 기질로 금기된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합니다. 출발 장내 기질로서 이들 제품의 높은 삼투압은 어린이의 위장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장내 영양 계산

장내 영양은 투여된 단백질과 사용된 장내 기질의 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칼로리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단백질 요구량(A)

부분 및 완전 장내 영양의 경우 단백질 요구량은 출생 시 체중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과 같습니다.

■ 체중 기준 4~4.5g/kg/일<1000 г;

■ 체중 1000~1800g의 경우 4~3.5g/kg/일;

■ 체중 1,800~2,200g의 경우 3.5~3.2g/kg/일;

■ 체중 2,200-3,000g의 경우 3.2-2.5g/kg/일;

■ 체중이 3000g을 초과하는 경우 2.2g/kg/일.

에너지 요구량(A)

부분 및 완전 장내 영양의 경우 에너지 요구량은 110-135 kcal/kg/일입니다. 어린이의 나이가 들수록 에너지 공급이 증가합니다(표 1).

표 1. 연령에 따른 최소 에너지 요구량

| 생활의 날 1 2 h 4 5 ■schi 8- 10

Kcal/kg 30-40 40 50 60 70 80 90 100- -135

유체 요구 사항(A)

처방된 영양량이 영양분과 에너지의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경우 완전 경장 영양의 허용량은 135-200ml/kg/일입니다. 호흡 보조와 산소 요법이 필요하고 심혈관 및 호흡 부전의 징후가 있는 어린이의 경우 용량을 160ml/kg/일 이상으로 늘리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표 2).

표 2. 어린이의 체중과 연령에 따른 생리적 수분 필요량(ml)

생년월일/체중 2000g 이상 2000g 이하

2-3 70-90 90-120

4-5W\ 90-120 120-140

6-7 120-160 140-160

7인 이상 160-180 (135-200) | 160-180 (135-200)

비타민이 필요하다

비타민과 미량원소에 대한 미숙아의 필요성이 표에 나와 있습니다. 삼.

미숙아의 영양분과 체액에 대한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비경구 영양과 함께 장내 영양을 사용하는 것이 결정됩니다. 임신 34주 이하 및/또는 출생 체중 2000g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 생년월일에 따라 생리적 필요량까지 부족한 영양소를 지원하는 비경구 영양이 필요합니다. 임신 34주 이후에 태어난 어린이

표 3. 비타민 및 미량원소의 일일 요구량(A)

영양소 요구량 kg/일

비타민 A mcg 400-1000

(1mcg = 3.33IU)

비타민 D, IU 800-1000 IU/일 (체중과 관계없음)

비타민 K, mcg 4.4-28

비타민 E mg 2.2-11

비타민 C, mg 11-46

비타민 B1, mcg 140-300

비타민 B2, mcg 200-400

비타민 B., mcg 45-300

비타민 B12, mcg 0.1-0.77

엽산, mcg 35-100

니아신, mcg 380-5500

비오틴, mcg 1.7-16.5

판토테네이트, mg 0.33-2.1

나트륨, mg 69-115

칼륨, mg 66-132

칼슘염, mg 120-140

인, mg 60-90

마그네슘, mg 8-15

철, mg 2-3

아연, mg 1.1-2.0

체중이 2000g을 초과하고 수명이 최대 48시간인 경우, 장내 영양량이 에너지 및 체액에 대한 생리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포도당과 전해질을 보조하는 비경구 영양이 표시됩니다. 생후 48시간 후, 처방된 장내 영양량이 영양분, 에너지 및 체액에 대한 생리학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이들 소아는 누락된 모든 기질에 대한 보조금과 함께 비경구 영양을 받아야 합니다.

미숙아의 장 영양 방법

미숙아의 경우 위장관 상태와 함께 임상 위험 지수(CRIB) 척도를 사용하여 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이 장내 영양 섭취 시작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표 4). 체중이 1500g 미만이고/또는 재태 기간이 32주인 어린이의 경우, 최종 CRIB 점수는 각 징후의 최대 점수를 고려하여 생후 12시간에 계산된 후 다음과 같은 결정이 내려집니다. 장내 공급을 시작합니다(알고리즘 1-3). 체중 1500g 이상, 재태 기간 32주 이상으로 호흡 지원이 필요한 어린이의 경우, 최종 CRIB 점수는 각 징후의 최대 점수를 고려하여 생후 6시간에 합산됩니다. 장내 공급을 시작하기로 결정합니다(알고리즘 4, 5). 체중 1500g 이상, 재태기간 32주 이상, 호흡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영아의 경우 CRIB 평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출생 후 즉시 장내 수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알고리즘 6).

표 4. 신생아 중증도 평가를 위한 예후 척도 CRIB(Clinical Risk Index for Baby - 영유아 임상 위험 지수)

| 요인 | | 포인트 |

출생 체중, g

1350 이상 0

임신 기간, 주

선천적 결함(생명과 양립할 수 없는 결함은 제외)

생명에 위협이 되지 않음 1

생명을 위협하는 3

처음 12시간 동안 최대 염기 과잉량, mmol/l

-7.0 이상 0

7.0 ~ -9.9 1

10.0~-14.9 2

처음 12시간 동안 최소 FiO2(SatO2= 88-95%)

처음 12시간 동안 최대 FiO2(SatO2= 88-95%)

장내 영양의 효과 모니터링

장내 영양의 효과 모니터링은 미숙아의 신체 발달 평가와 여러 실험실 매개 변수를 고려하여 수행됩니다.

■ 신체 발달 지표. 목표는 자궁 내 성장에 상응하는 성장률(체중 증가 15g/kg/일, 키 >0.9cm/주, 둘레 >0.9cm/주)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미래에 - 따라잡는 성장. 백분위수 곡선을 고려하면 10~90% 범위의 아동 신체 발달 지표가 정상으로 간주됩니다(그림 참조).

■ 실험실 지표. 헤모글로빈 함량은 7~10일마다 한 번씩 측정됩니다. 혈액 내 단백질, 알부민, 포도당, 요소, 나트륨, 칼륨, 칼슘, 인, 알칼리 인산염의 함량

골반은 2주에 한 번씩 결정됩니다(표시된 경우 - 더 자주). 낮은 요소수(1.5mmol/L 미만)는 단백질 결핍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알부민 수치는 미숙아의 경우 덜 구체적이지만, 낮은 요소수와 결합된 낮은 알부민 수치(25-26g/l 미만)는 단백질 결핍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수치는 골감소증을 진단하기 위한 실험실 검사 중 하나입니다. 1.3mmol/l 미만의 인 수치와 800-1000U/l 이상의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수치는 골감소증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특별한 영양이 필요한 미숙아

담즙정체 증후군이 있는 어린이

■ 생리적 필요량의 최대 125%까지 칼로리 섭취량을 늘립니다.

■ MCT 함량 증가(담즙울체의 중증도에 따라 최소 30%, 최적으로는 40-50%).

■ 지용성 비타민은 담즙 정체가 10일 이상 지속될 경우 경구 처방됩니다(비타민 D3 800~1200 IU/일, 비타민 E 50120 IU/일, 비타민 A 2500~5000 IU/일, 비타민 K 1 mg/kg/일) . 미숙아를 위한 특수 조제분유에는 비타민 A 함량이 높기 때문에 경구용 비타민 A 제제의 투여는 혈청 수준을 조절하면서 실시해야 합니다. 비타민 K 결핍의 간접적인 징후는 프로트롬빈 지수의 감소 또는 국제 표준화 비율(INR)의 증가입니다.

■ 칼슘(50mg/kg), 아연(1mg/kg), 인(25mg/kg) 추가처방.

중증 기관지폐이형성증(BPD), 심혈관 부전을 앓고 있는 어린이

■ 유체 과부하를 피해야 합니다.

■ 용량 제한(135~160mL/kg/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성장이 부족한 경우에는 칼로리 섭취량을 늘려야 합니다.

■ 비타민 A 필요량 충족(최대 1500mcg/kg/일).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체액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는 100kcal/100ml의 치료용 고칼로리 혼합물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3~97백분위수에서 체중, 길이, 머리둘레 분포

애플리케이션

알고리즘 1. 어린이의 장내 영양공급 방법<27 НЕД ГЕСТАЦИИ С ОЦЕНКОЙ ПО ШКАЛЕ

어린이 침대<5 БАЛЛОВ

알고리즘 2. 재태 연령이 27세 이상인 어린이의 장내 영양 방법<32 НЕД ИЛИ <1500 Г С ОЦЕНКОЙ ПО ШКАЛЕ CRIB <5 БАЛЛОВ

알고리즘 3. 어린이의 장 영양 방법<32 НЕД ГЕСТАЦИИ ИЛИ <1500 Г

유아용 침대 점수 > 5점

알고리즘 4. 임신 32주 초과 및 호흡 지원이 포함된 1500G 초과 어린이의 장내 영양 공급 방법 및 유아용 침대 규모 평가<5 БАЛЛОВ

알고리즘 5. 임신 32주 초과 및 호흡 지원 시 1500G 초과, 유아기 점수 5점 초과 어린이의 장내 영양 공급 방법

알고리즘 6. 임신 32주 초과 및 1500G 초과 어린이의 장내 영양공급 방법

호흡 지원 없이

미숙아에게는 초유나 분유를 출산 직후부터 먹일 수 있습니다.

수유 첫날 - 볼루스 튜브/유두 3시간마다 최대 20ml/kg/일

수유 2일차 - 3시간마다 20-40 ml/kg/일 튜브 30분/유두

수유 3일째 - 3시간마다 튜브 30분/유두마다 40-60 ml/kg/일

수유 4일차 - 3시간마다 60-80 ml/kg/일 튜브 60분/유두

수유 5일째 - 3시간마다 80-100 ml/kg/일 튜브 60분/유두

수유 6일차 - 매 3시간마다 100-120 ml/kg/일, 튜브 60분/유두

수유 7일차 - 매 3시간마다 120-140 ml/kg/일, 프로브 60-120분/유두

수유 8일차 이상 - 3시간마다 >140-160 ml/kg/일 프로브 60-120분/유두

3시간마다 아이의 상태와 위장 기능을 평가합니다.

문학

1. 아담킨 D.Kh. 극저체중 출생아를 위한 수유 전략: Trans. 영어로부터 / 에드. E.N. 바이바리나. - M.: GEOTAR-Media, 2013. - 176 p.

2. 분유 조제분유의 안전한 준비, 보관 및 취급. 지침 - WHO, 2007. - 26p.

3. 극저체중으로 태어난 아동의 관리 국제 데이터의 임상 검토 // 정보 및 교육 게시판. 가족 건강 - 2011 - No. 2. - 24 p.

4. 미숙아에게 먹이를 주는 것. 방법론적 권장 사항 / 편집자: Narogan M.V., Vorona L.D., Korovina I.V. - M., 2012. - 32 p.

5. 극저체중아 및 극저체중아에 대한 집중치료 및 관리원칙. 체계적인 글쓰기 / Ed. E.N. 바이바리나, D.N. Degtyareva, V.I. Shirokova. - M., 2011. - 70p.

6. Narogan M.V., Yatsyk G.V., Syutkina E.V. 신생아의 간접열량측정법을 이용한 에너지 대사 연구 // 이슈. 현대 소아과. - 2006. - 4호. - P. 39-43.

7. 러시아 연방의 첫 해에 어린이의 수유를 최적화하기 위한 국가 프로그램. - M., 2011. - 68 p.

8. Pyasetskaya N.M. 미숙아의 조기 빈혈: 재조합 에리스로포이에틴(에포에틴-베타)을 이용한 예방 및 치료: 교과서. - 키예프, 2004. - 26p.

9. 미숙아의 합리적인 수유: 지침 / Borovik T.E., Yatsyk G.V., Ladodo K.S. 및 기타 - M., 2012. - 68 p.

10. Roos R., Genzel-Borovichesi O., Prokitte G. 신생아학. 실용적인 권장 사항 - M.: 의학 문헌, 2011. - 568 p.

11. 극저체중 및 극저체중아를 간호하는 현대적 원리: 교과서. 매뉴얼 / 편집자: Tamazyan G.V., Zakharova N.I., Narogan M.V. 및 기타 - M., 2011. - 27 p.

12. Schaafsma A., Gribakin S.G., Garankina T.I., Davydovskaya A.A. 영양가를 높이고 유익한 장내 미생물을 형성하며 면역 체계의 감작을 줄이기위한 최적의 단백질 소화의 중요성 // 소아과. - 2013. - T.92, No. 1. -P.93-96.

13. Aggett PS, Agostoni S., Axelsson I. 외. 퇴원 후 미숙아에게 먹이를 주는 것. ESPGHAN 영양 위원회의 논평 // J.Pediatr.Gastroenterol.Nutr. -2006. - 권. 42. -P. 596-603.

14. Agostoni L, Axelsson I., Goulet O. 외. 분말 유아용 조제분유의 준비 및 취급: ESPGHAN 영양 위원회의 논평 // J.Pediatr.Gastroenterol. 너트. - 2004. -Vol. 39. -P. 320-322.

15. Agostoni L, Buonocore G. 외. 미숙아를 위한 장내 영양 공급: 유럽 소아 위장병학, 간장학 및 영양 위원회 영양 위원회의 논평 // J. Pediatr. Gastroenterol.Nutr.- 2010. - Vol. 50. - 페이지 1-9.

16. Alison Leaf, Jon Dorling, Stephen Kempley 외. 성장이 제한된 미숙아를 위한 조기 또는 지연된 장내 영양 공급: 무작위 시험 // 소아과 - 2012. - Vol. 129. -P.e1260.

17. Agarwal R., Singal A. 2004 조산아 모유의 삼투압에 대한 모유 강화제(HMF) 및 기타 강화제를 사용한 강화 효과 // 인도 소아과.- 2004.18. Ar-slanoglu S., Corpeleijn W., Moro G. 외. 미숙아를 위한 기증 모유: 현재 증거 및 연구 방향 ESPGHAN 영양 위원회의 의견 // J.Pediatr. Gastroenterol.Nutr.: 사후 승인, 2013년 7월 15일.

18. Arslanoglu S., 모로 G.E., Ziegler E.E. 모유를 먹는 유아의 강화 조절 가능: 차이가 있나요? // J. 페리나톨. - 2006. -Vol. 26. -P.614-621.

19. 바루스 D.M. Romano-Keeler J., Carr C. 외. 미숙아의 장내 단백질 보충 영향 // 신생아학 연구 및 보고서 - 2012. - Vol.2. -P.25-31.

20. Bhatia J. 모유와 미숙아 // J. Perina-tol. - 2007.- Vol.27. -P.S71-74.

21. Bhatia J. 미숙아의 퇴원 후 영양 // J. Peri-natol. - 2005. - Vol.25. -P.S15-16.

22. 정책 성명: 모유 수유 및 모유 사용. // 소아과. - 2012. - Vol. 129(3). - P.e827-841.

23. 24. Carlo D., Simone P., Jacopo B. 외. PretermIn-fants의 연속 대 간헐적 공급 방법 중 내장 조직 산소화의 근적외선 분광학 측정 // J. Pediatr. Gastroenterol.Nutr. - 2013. - Vol. 56(6). -피. 652-656.

24. Christensen R.D., Henry E. 외.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저체중 신생아의 일일 체중 패턴 : 다중 병원 건강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 J. Perinatol. -2006. - Vol. 26. - 페이지 37-43.

25. Cooke R., Embleton N., Rigo J. 외. 고단백 조산아용 조제분유: 영양 균형, 대사 상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 Pediatr. 결의안. - 2006. - Vol.59(2). -P.265-270.

26. Corpeleijn W.E., Kouwenhoven S.M.P., Paap M.C. 외. 생후 첫 날 모유 섭취는 생후 첫 60일 동안 극소 저체중 영아의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 신생아학. - Vol. 102. - P. 276- 281.

27. Cossey V., Vanhole C., Eerdekens A. 외. 미숙아를 위한 모유 저온살균은 후기 발병 패혈증 발병률을 감소시키지 않습니다. // 신생아학. - Vol. 103. - P. 170-176.

28. De Curtis M., Rigo J. 미숙아의 영양 // Early Hum.Dev. - 2012. -Vol. 88, 공급. 1. -피. S5-7.

29. Do Nascimento M.B., Issler H. 미숙아의 모유 수유: 병원 내 임상 관리 // J. Pediatr - 2004. - Vol. 80(5공급). -P.S163-S172.

30. Edmond K., Bahl R. 저체중아의 최적 수유. 기술 검토. - 제네바: WHO, 2006.

31. Ehrenkranz R.A., Dusick A.M., Vohr B.R. 외. 신생아 중환자실의 성장은 초저체중아의 신경 발달 및 성장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 Pediatrics - Vol. 117. - P. 1253-1261.

32. 고멜라 T.L. 신생아학: 관리, 절차, 당직 문제, 질병 및 약물. - McGraw-Hill, 2009. - 894쪽.

33. 그리핀 I.J., 쿡 R.J. 퇴원 후 미숙아의 영양 // J Pediatr.GastroenterolNutr. - 2007. -Vol. 45.-P.S195-203.

34. Groh-Wargo Sh., Sapsford A.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미숙아의 장내 영양 지원 // Nutr. Clin.Pract. - 2009. - Vol. 24(3). -P.363-376.

35. 헤이 W.W. 주니어 미숙아 수유 전략 // 신생아학. - 2008. - Vol. 94(4). -P.245-254.

36. 인간의 비타민과 미네랄 요구량. 태국 방콕에서 열린 FAO/WHO 공동 전문가 협의 보고서. FAO 및 WHO. - 로마, 2002.

37. Kashyap S., Schulze K.F., Ramakrishnan R. 외. 저체중아의 단백질 및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 증가율 및 구성 간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 평가 // Pediatr. 결의안. - 1994. - Vol. 35. -P. 704-712.

38. Kuschel C.A., 하딩 J.E. 미숙아의 성장 촉진을 위한 다성분 강화 모유(검토) // The Cochrane Library. - 2009.

39. Kuschel C.A., 하딩 J.E. 미숙아의 성장 촉진을 위한 모유의 단백질 보충 // Cochrane Database Syst. 신부님. - 2000. - 그렇죠. 2:CD000433.

40. 조기 영양에 의한 Lucas A. 프로그래밍 : 실험적 접근 방식 // J. Nutr. - 1998년 2월 - Vol. 128(2). -P.401S-406S.

41. McCormick F.M., Henderson G., Fahey T., McGuire W. 퇴원 후 조산아를 위한 인간 모유의 다중 영양 강화 // The Cochrane Library. - 2010.

42. Morgan J., Bombell S., McGuire W. 조산아 또는 저체중 출생아를 위한 조기 영양 공급과 장내 단식 // Cochrane Database Syst. 신부님. - 2009. - 입니다. 3:CD000504.

43. Morgan J., Young L., McGuire W. 극저체중 출생아의 괴사성 장염을 예방하기 위한 점진적 장내 공급 도입 지연(검토) // The Cochrane Library. - 2011.

44. Morgan J., Young L., McGuire W. 극저체중 출생아의 괴사성 장염을 예방하기 위한 장내 공급량의 느린 진행(검토) // The Cochrane Library. -2011.

45. NeoFax / Young T.E., Mangum B., Thomson Reuters. - 2010.

46. ​​​​O"Connor D.L., Khan S. et al. 병원 퇴원 후 추가 에너지 및 영양소가 제공되는 모유를 먹는 미숙아의 성장 및 영양소 섭취 // 소아과 - 2008년 4월 - 121(4)권 . -P.766-776.

47. Parish A., Bhatia J. ELBW 유아의 수유 전략 // J. Perinatol. - 2008. - Vol.28. -P.S18-20.

48. 파커 LA, 설리반 S., 크루거 C. 외. 초저체중아 산모의 초기 모유 유축이 모유량과 젖생성 단계 II 시기에 미치는 영향: 예비 연구 // J. Perinatol.- 2012March. - Vol. 32. - 페이지 205-209.

49. 파톨레스. 미숙아를 위한 영양. 임상적 관점. - 스프링어, 2013. - 450쪽.

50. PremjiS.S., Fenton T.R., Sauve R.S. 분유를 먹는 저체중 출생아의 단백질 섭취량이 많을 때보다 낮을 때 // Cochrane Database Syst. 신부님. - 2006. - 25. - 이다. 1:CD003959.

51. Ramenghi L.A., Fumagalli M., Bassi L. et al. 미숙아의 뇌 성숙: 새로운 통찰력 // J.Pediatr.Gastroen-terol.Nutr. - 2007. - Vol. 45. -P. S143-146.

52. Rigo J., Senterre J. 미숙아의 영양 요구 : 현재 문제 // J. Pediatr. - 2006. - Vol.149. -P.S80-88.

53. Roggero P., Gianni M. L., Amato O. 외. 퇴원 후 미숙아의 성장 및 무지방 체중 증가: 무작위 대조 시험 // 소아과. - 2012. - Vol. 130(0)5. -피. e1215-1221.

54. 55. Roggero P., Gianni M.L., Amato 0. et al. 만삭 후 분유를 먹는 미숙아의 신체 구성에 대한 단백질 및 에너지 섭취의 영향 // J. Pediatr Nutr. -2008. - 권. 47. - P. 375-378.

55. Roggero P., Gianni M. L., Moríacchi L. 외. 비경구 및 장내 영양 공급 중 저체중 미숙아의 혈액 요소 질소 농도 // J.Pediatr.Gastroenterol. 너트. - 2010년 8월 - 권. 51(2). -P.213-215.

56. Shuiman R.J., Ou C., 스미스 E.O. 미숙아의 완전 위관 영양 공급 달성을 예측하는 잠재적 요인 평가 // 신생아학. - 2012. - Vol.99. -P.38-44.

57. 톰슨 A.M., 비자로 M.J. 신생아의 괴사성 장염: 병인, 예방 및 관리 // 약물.-2008. - Vol. 68. - P. 1227-1238.

58. 투린 P.J. 신생아의 초기 공격적인 영양 // Pe-diatr. 신부님. - 1999. - Vol. 20. -P.e45-e55.

59. 투린 P.J. 신생아 영양: 평가, 개발 및 관리 // 프레젠테이션, 10월 2008년 2월 2일. -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60. Tsang R.C., Uauy R., Koíetzko B., Ziotkin S. (eds). 미숙아의 영양. -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디지털 교육 출판, 2005. - P.415-416.

61. Yiidiz A., Arikan D. 미숙아에게 젖꼭지를 제공하고 완전한 구강 수유 및 빨기 성공을 위한 전환기에 자장가를 듣게 하는 효과 // J. Clin. 간호사.- 2012. - Vol. 21(5-6). -P.644-656.

62. 영 T.E. 영양 지원 및 기관지폐 이형성증 // J. Perinatol - 2007. - Vol. 27.-P.S75-S78.

63. 지글러 E.E. 극저체중 출생아의 단백질 요구량 // J.Pediatr.Gastroenterol.Nutr. - 2007. -Vol. 45. -P. S170-174.

64. 지글러 E.E., 칼슨 S.J., 넬슨 S.E. 적절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 전략 // 모자 영양: 처음 1,000일. 네슬레 영양연구소 워크숍 시리즈. - 2013. -Vol. 74.-P. 181-192.

65. Zlotkin S.H., 브라이언 M.H., 앤더슨 G.H. 조산아의 자궁 내 질소 축적을 복제하는 데 필요한 정맥 내 질소 및 에너지 섭취량 // J. Pediatr. -1981. - Vol. 99. - 페이지 115-120.

조기 출산을 준비하는 부모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조산아의 탄생은 온 가족에게 어려운 경험이 됩니다. 이는 모든 사람이 통통하고 장밋빛 뺨을 가진 아기의 탄생을 기다리고 있으며 최대 5일 안에 산부인과 병원에서 돌아올 것을 기대하고 일반적으로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인터넷, TV, 인쇄물 등 임산부와 젊은 부모를 위한 수많은 정보가 정상적인 임신, 합병증 없는 출산, 건강한 신생아 돌보기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뭔가 잘못되기 시작하면 부모는 정보 공백 상태에 빠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이미 어려운 상황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러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조산 및 조산 문제를 전담하는 리소스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자료는 조산을 기대하거나 이미 출산한 부모를 위해 부모가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산부인과 병원과 주산기 센터에서 임신을 유지하고 아기를 간호하는 기간 동안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경험으로 경험했습니다. 우리는 자궁 밖에서 아이의 완전한 신체적, 정신적 성숙을 위해 꼭 필요한 전문적인 치료를 위한 자금이 급격히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나는 인큐베이터에서 보낸 지 한 달이 넘었고, 회복에 대한 끝없는 기다림과 두려움, 희망 속에서 요람에서 지냈습니다.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조산아의 돌봄, 발달, 교육에 관해 점점 더 많은 정보가 필요했는데, 이러한 정보는 우리 상황에 적합하고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 경험은 우리 웹사이트에 게시된 정보가 젊은 엄마와 아빠가 사랑하는 아기의 탄생을 더 잘 준비하여 인생의 이 어려운 시기를 더 쉽고 차분하게 헤쳐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을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합니다. 지식과 경험은 귀하를 더욱 자신감있게 만들어주고 가장 중요한 것, 즉 아기의 건강과 발달에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이트 제작을 위한 자료로는 의학 및 교육학 문헌, 참고서, 실용 안내서, 산부인과, 신생아학, 아동 심리학 및 교육학 분야 전문가의 의견, 해외 자료, 그리고 우리 아이들 덕분에 만나 친해지게 된 부모님.

여기에 제시된 자료는 귀하와 귀하의 자녀를 위한 "레시피"가 아니라 상황을 이해하고 의심을 없애고 행동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십시오. 의약품, 장비, 브랜드, 기관 등을 언급합니다. 광고성이 없으며 전문가의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기가 태어나고 성장하는 순간부터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질문, 희망 사항 또는 제안 사항이 있는 경우 이 이메일 주소는 스팸봇으로부터 보호됩니다. 이를 보려면 JavaScript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진심으로,

체질량

1000

1001-1500

1501-2000

첫 번째 수유: 모유 또는 1/4 농축분유

1~2시간마다 1~2ml/kg 또는 지속적으로 튜브 투여

2시간마다 1~3ml/kg

2~3시간마다 3~4ml/kg

3시간마다 10ml/kg(희석하지 않은 혼합물)

후속 수유: 희석하지 않은 모유 또는 분유

1회(2시간마다) 1ml씩 늘려 최대 5ml까지 섭취할 수 있습니다.

1회(2시간마다) 1ml씩 늘려 최대 2ml까지 섭취할 수 있습니다.

2~3시간마다 9회 수유할 때마다 2ml씩 늘려 최대 20ml까지

1회(3시간마다) 5ml씩 늘려 최대 20ml까지 섭취할 수 있습니다.

최종 처방: 150ml/kg: 희석하지 않은 모유 또는 분유

2시간마다 10-15ml

2~3시간마다 20~28ml

3시간마다 28~37ml

Full ED로 전환하기까지의 총 시간

미숙아에게 EP를 시행할 때 다음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투여되는 영양의 양과 구성에 대한 개인의 내성을 엄격하게 통제합니다.

    필요한 양의 다량 영양소와 칼로리를 장내 투여할 수 없는 경우 부분 PN이 사용됩니다.

    부분 PP에서 전체 EP로의 전환은 EP 동화의 통제하에 점진적으로 수행됩니다.

영양량의 흡수 모니터링은 다음과 같이 수행됩니다.

매개변수:

    역류의 유무.

    팽만감의 유무.

    수유 전 하루 4-6 회 위의 정체 된 내용물을 모니터링합니다 (위에서 배출하는 시간은 60-90 분이므로 매시간 수유하거나 일정한 주입 모드에서 위 흡인량은 아이에게 2시간 이하마다 먹이를 주는 경우 흡인량은 2ml(kg) 미만이어야 합니다.

    대변의 빈도와 성격을 조절하십시오.

규정된 영양량에 대한 불내증의 경우 다음이 수행됩니다.

이벤트:

    일일 섭취량을 유지하면서 수유 횟수를 늘리되 하루에 10회를 넘지 마십시오.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투여로 전환할 때까지 주어진 용량의 투여 시간을 늘립니다.

    투여되는 영양분을 물로 희석하여 삼투압 및 농도를 감소시킵니다(부족한 칼로리 및 영양성분은 비경구적으로 보충됩니다).

    EN의 수유량과 일일 섭취량을 줄이고 PN의 비율을 늘립니다.

영양 효율성을 모니터링하려면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가능한 대사 장애를 예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체 측정 데이터(일일 체중, 매주 신체 길이 및 머리 둘레)를 평가하고 개념 이후 연령을 고려하여 피부 주름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생후 1개월과 2개월에 미숙아의 체중 증가에 대한 대략적인 일일 평균 표준은 출생 시 어린이 체중 1kg당 10-15g의 적절한 일일 증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중 1000g으로 태어난 어린이의 일일 체중 증가 범위는 10~15g이고, 체중 1500g으로 태어난 어린이의 일일 체중 증가량은 15~22.5g(10g x 1.5 = 15g, 15g x 1.5)입니다. = 22.5g), 출생 체중이 2000g인 어린이의 경우 이 수치는 이미 20~30g입니다.

따라서 첫 번째 그룹 어린이의 생후 첫 달 동안 정상적인 체중 증가는 300-450g, 두 번째 그룹은 450-675g, 세 번째 그룹은 600-900g 사이에서 변동합니다. 대략 동일한 증가율입니다. 체중은 생후 2개월 동안 유지됩니다.

앞으로 미숙아의 신체 발달 상태를 평가할 때 만삭아의 월평균 체중 증가량을 대략적으로 보면 3개월에 800g, 4개월에 750g, 5개월에는 700g 등 d. 그러나 생후 5~7개월의 조산아의 경우 발달 속도가 더 높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단백질 대사 상태는 혈청 단백질로 평가됩니다. 한 달에 한 번 알부민 함량을 측정합니다 (반감기는 10-21일). 미네랄 대사 상태는 혈청 내 이온 함량으로 평가됩니다. 인-칼슘 대사에 대한 유익한 지표는 알칼리성 포스파타제의 함량입니다.

지정된 연령 1개월에 도달하면 아이는 점차적으로 자신의 연령에 적합한 분유(모유가 없는 경우)로 전환해야 합니다. 특정 연령인 4개월이 되면 보완 식품이 도입되기 시작합니다.

식단의 첫 번째 과일 주스는 사과나 배가 될 수 있습니다. 공업적으로 생산된 주스나 갓 만든 주스를 물에 희석(1:1 비율)하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장 장애가 있는 경우 과일 퓌레(사과, 배, 바나나 - 5-10-20g)가 먼저 처방됩니다.

같은 나이부터 야채 퓌레나 죽을 줄 수 있습니다. 어린이에게 영양실조, 철결핍성 빈혈(철분을 강화한 공업용 곡물), 장내 미생물 불균형, 묽은 변, 락타아제 결핍증이 있는 경우에는 죽을 선호해야 합니다. 생애 전반기에는 주로 글루텐 프리 시리얼이 도입되며 10-50g에서 시작하여 하루 100-150g으로 증가합니다.

죽이 첫 번째 보완 식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두 번째 보완 식품은 야채 퓌레로, 2-4주 후에 도입되며 10-20g의 양으로 시작하여 150-170-200g으로 확장됩니다. 야채 퓌레와 함께 식물성 기름 (1-3-5 ml)이 처방되고 조금 후에 고기 퓌레 (5-20-50 g)가 처방됩니다.

코티지 치즈는 생후 6개월(5~20~40g) 이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생후 첫 6개월 동안 어린이의 식단에서 단백질 성분을 교정하기 위해 우유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처방됩니다. 쉽게 소화 가능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고 비타민-미네랄 복합체가 존재하여 코티지 치즈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생후 10~11개월부터는 완숙 계란 노른자를 먹입니다. 발효유 제품은 8~9개월(100~200ml)부터 권장됩니다. 같은 나이부터 크래커와 쿠키(3-5-10g)가 식단에 추가됩니다.

고기와 생선은 7~8개월부터 시작됩니다. 야채와 결합. 모든 새로운 식품은 한 번에 한 가지 성분씩 점진적으로 도입되어야 합니다.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나면 이러한 유형의 보완 식품 또는 그 구성 제품은 최소 1개월 동안 식단에서 "제거"됩니다.

미숙아의 경장영양 전 또는 장기간 불가능할 경우에는 미숙아의 비경구 영양공급성장을 위해 물, 에너지원, 아미노산, 전해질 및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합니다. 치료할 수 없는 설사, 광범위한 장 절제술, 극심한 저체중의 경우 생명을 구합니다. 주입 용액은 천자 또는 수술적 접근을 통해 중심 정맥에 설치된 영구 카테터로 투여되거나 말초 정맥의 카테터를 통해 투여됩니다. 카테터를 짧은 시간 동안 제대 정맥에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미숙아를 위한 비경구영양의 목적은 포도당, 지방유제, 아미노산 공급을 통해 아이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칼로리 섭취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양의 전해질, 비타민 및 미량 원소를 첨가한 25-30g/l 농도의 합성 아미노산 혼합물과 10-15% 포도당 용액을 사용하십시오. 정맥으로 투여할 때 포도당 용액의 농도는 12.5% ​​미만이어야 합니다. 최대 25% 농도의 포도당 용액을 중심정맥 카테터에 주입할 수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정맥 투여용 지방 유제의 농도는 20%입니다. 일반적으로 미숙아에게 먹이는 데 사용되는 Intralipid(2.2kcal/ml)는 삼투압 부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칼로리 함량을 제공하고 농축 포도당 용액을 정맥 투여할 필요가 없으며 필수 지방산의 공급을 보장합니다. 인트라리피드를 0.5g/kg/일의 용량으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점차적으로 트리글리세리드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되면 복용량을 3g/kg/일로 늘립니다. 지방산 결핍을 예방하려면 하루 0.5g/kg의 복용량이면 충분합니다. 전해질, 미량 원소, 비타민은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양으로 투여됩니다. 미숙아 수유용 주입 용액의 용량과 구성은 임상 및 생화학적 데이터에 따라 매일 조정됩니다. 주입은 낮고 일정한 속도로 수행됩니다. 주입액의 성분은 자격을 갖춘 약사가 무균 조건에서 혼합해야 합니다.

미숙아의 총 비경구 영양의 칼로리 함량이 100kcal/kg을 초과하는 경우, 심각한 질병(예: 패혈증)이나 수술적 개입이 없는 경우 신생아의 체중은 약 15g/kg/일 증가하고 양성 반응을 보여야 합니다. 질소 균형 150-200 mg/kg /day 첫 주에 우세한 이화작용에서 벗어나 표시된 체중 증가로 전환하려면 일반적으로 말초 정맥 카테터에 2.5-3.5g/kg/일의 복용량으로 아미노산 혼합물을 도입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2-3g/kg/일 용량의 % 포도당 용액 및 지질내

미숙아의 총 비경구 영양법 합병증은 정맥 카테터 삽입 및 주입 용액 성분 대사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습니다. 중심 정맥을 사용할 때 가장 큰 위험은 패혈증입니다. 용액을 준비할 때 세심한 카테터 관리와 무균 기술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패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상구균이다. 항균 요법이 지시됩니다. 효과가 없는 경우(치료 중 혈액에서 병원체를 반복적으로 분리하는 경우) 카테터를 제거합니다. 또한, 정맥 혈전증, 카테터 변위, 실수로 피부 아래에 수액 주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초 정맥을 사용하는 경우 패혈증은 훨씬 덜 흔하지만 표재성 감염, 정맥염 및 피부 괴사가 가능합니다. 미숙아 영양의 대사 합병증 중에는 농축 포도당 용액 투여로 인한 고혈당증이 있습니다. 이는 삼투성 이뇨, 탈수, 질소혈증을 유발하고 신석회화증의 위험을 동반합니다. 저혈당증은 주입이 실수로 갑자기 중단될 때 발생합니다. 지방유제의 투여는 고지혈증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으며, 아마도 저산소증으로 인해 아미노산 혼합물의 투여가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장기간의 비경구 영양공급으로 인해 대사성 뼈 병변, 간 병변 또는 담즙 정체성 황달이 발생합니다. 합병증의 빈도와 심각도는 미숙아의 비경구 영양 공급 중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매개변수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미숙아의 경장영양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역류나 수유 중에 기아와 흡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련이 충분하지 않은 직원이 수행하는 수유 방법으로는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호흡 장애, 저산소증, 쇼크, 호흡기 점액의 과도한 분비, 구토 충동, 심부 미성숙, 중추 신경계 우울증, 중증 질병(예: 패혈증)에는 젖꼭지를 통한 수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영양분, 수분, 전해질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숙아의 관수유와 비경구 영양공급이 필요합니다. 유두를 통한 수유는 활발한 빨기, 후두개에 의한 후두 폐쇄, 연구개에 의한 비강 폐쇄 및 식도의 정상적인 연동 운동과 함께 삼키는 동작의 조정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동기화는 34주 이전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임신 적령기.

34주차에 태어난 아이들. 나중에는 일반적으로 유두를 통해 수유하고 심지어 유방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빨기 동작이 약하기 때문에 만삭 신생아에 비해 유방 빨기가 더 심합니다. 처음에는 이 아이들에게 유두를 통해 짜낸 모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후자는 직경이 작고 구멍이 크고 부드럽습니다. 출생시 체중이 비교적 적고 빨기가 느린 미숙아에게 먹이를주기 위해 내부 직경이 0.05cm이고 두 개의 구멍이있는 둥근 무외상 끝이있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탐침이 사용됩니다. 탐침은 코를 통과하여 아래쪽 2.5cm가 위장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상단에는 주사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가 있습니다. 측정된 양의 우유 또는 분유는 IV 펌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또는 중력에 의해 투여됩니다. 프로브는 3~7일마다 교체됩니다. 변경시 반대쪽 콧구멍에 장착됩니다. 때로는 영구 비위관이 분비물이 많아 점막 자극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튜브를 입을 통해 삽입하고 매 수유 후에 제거합니다.

저체중 출생 미숙아의 경우, 영양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투여합니다. 미숙아가 위관을 통한 영양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 때때로 비공장관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섭취할 경우 장 천공의 위험이 있습니다. 아기가 충분히 강해지면 젖꼭지를 통해 젖을 먹인 다음 유방으로 젖을 먹입니다.

위루관을 통한 영양공급은 위장관 질환 및 기형으로 수술을 받은 신생아와 지속적인 삼키기 장애로 인한 중추신경계 손상의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미숙아에게 언제 장내영양을 시작해야 합니까? 아픈 조산아에 관해서는 이 문제에 대한 합의가 없습니다. 소위 영양 영양이 사용됩니다. 위장관의 성숙을 자극하기 위해 아주 적은 양의 우유 또는 혼합물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성장 촉진, 장 운동성 향상, 비경구 영양의 필요성 감소, 감염 빈도 감소, 입원 기간 단축 등 유익한 효과가 있습니다. 아이의 상태가 안정되면, 비경구 영양 외에 소량의 경장 영양도 시작됩니다. 점차적으로 미숙아의 경장 영양 공급량이 증가하고 비경구 영양이 대체됩니다. 이 접근법은 괴사성 장염의 발생률을 감소시킵니다. 그러나 장내영양량의 증가는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장내 영양을 조심스럽게 조기에 도입하면 흡인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저혈당증, 탈수 및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호흡기 질환 및 기타 여러 질환은 현재 장내 영양을 비경구 영양으로 완전히 대체하는 징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전반적인 상태가 심하지 않고 빨기 반사가 활발하다면 즉시 유두를 통해 수유를 시작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출생시 체중이 1500g 미만인 미숙아는 호흡, 빨기 및 삼키기가 아직 충분히 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튜브를 통한 수유가 필요합니다. 영양을 흡수할 위장관의 준비 상태는 청진 중 연동 소음, 태변 통과, 튜브를 통한 흡인 중 팽만감, 구토 또는 담즙으로 얼룩진 위 내용물이 없는 것으로 표시됩니다. 체중이 1000g 미만인 어린이의 경우, 전유 또는 1:2로 희석한 미숙아용 모유 또는 분유를 10ml/kg/일 용량으로 비위관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또는 1~3시간마다 나누어 투여합니다. 잘 견디면 음식의 양을 매일 10~15ml/kg(20ml/kg/일 이하)씩 늘립니다. 하루 150ml/kg의 섭취량에 도달하면 칼로리 섭취량은 체중 30g당 24~27kcal로 늘어납니다. 고칼로리 식단을 사용하면 탈수, 유당 불내증, 고창, 설사, 위 배출 지연 및 구토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영양량이 120ml/kg/일에 도달할 때까지 정맥 수액 투여가 필요합니다. 출생 체중이 1500g을 초과하는 미숙아의 경우, 처음에는 미숙아에게 먹이기 위한 원액 또는 분유를 20-25ml/kg/일을 3시간마다 나누어 투여하지만 양은 늘리지는 않습니다. 20ml/kg/일 이상.

역류, 구토, 팽만감 또는 위배출 지연의 경우에는 미숙아의 영양량을 줄이고, 더욱 주의 깊게 늘려야 한다. 패혈증이나 괴사성 장염, 장폐색 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완전 비경구 영양법으로 전환해 검사를 지속한다. 어떤 경우에는 체중 증가를 달성하는 데 10~12일 이상이 필요하고 130~150ml/kg/일의 영양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상태가 좋고 음식의 양과 칼로리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출생 후 며칠 이내에 체중 증가가 나타납니다.

미숙아에게 튜브를 통해 먹이는 경우, 매번 먹이기 전에 이전에 먹인 우유나 분유가 위에 남아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일반적으로 튜브를 통해 흡인할 때 공기와 점액이 소량만 남아 있어야 합니다.) 위 배출이 지연되는 경우 음식의 양을 줄이고 점차적으로 늘려야 합니다.

28주까지 임신 기간이 되면 소화 효소 시스템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보장할 만큼 충분히 성숙됩니다. 담즙염이 부족하여 지방이 덜 흡수됩니다. 불포화지방산과 모유지방은 소지방보다 흡수가 더 잘됩니다. 출생 시 체중이 최대 2000g이고 모유 또는 인간화 유아용 조제분유(카세인 40% 및 유청 단백질 60%)를 섭취하고 하루에 2.25~2.75g/kg/일의 단백질을 제공하는 미숙아는 충분한 체중을 얻습니다. 우유와 유사한 분유에는 티로신, 시스틴, 히스티딘을 포함한 모든 필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고단백 식단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내약성이 좋습니다. 특히 생후 첫 며칠 이후와 급격한 체중 증가 기간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하루에 4-5 g/kg 이상의 단백질을 섭취하면(분유를 섭취할 때) 혈장 내 개별 아미노산 수준의 병리학적 변화, 혈액 요소 질소의 증가, 중추신경계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나트륨혈증, 대사성 산증. 또한, 고칼로리 균형 유아용 조제분유에 함유된 단백질과 미네랄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신장에서 다량의 용질이 배설되므로 특히 설사나 발열 시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미숙아를 포함한 모든 신생아에게는 자연적인 모유수유가 바람직합니다. 우유는 잘 소화되고 흡수될 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을 정상화하고 특정 및 비특이적 보호 인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감염으로부터 보호합니다. 미숙아의 자연 영양은 미숙아의 괴사성 장염 위험과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유익한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신 운동 발달을 개선하고 유년기 및 청소년기의 비만을 예방합니다. 미숙아의 영양량이 120ml/kg/일에 도달하면 모유에는 단백질, 칼슘, 인이 풍부해집니다. 모유가 없을 경우 미숙아에게 먹이는 분유가 사용됩니다. 34~36주에 도달하면. 수태 후 어린이의 구루병과 같은 대사성 뼈 변화가 없는 경우, 미숙아용 조제분유에 상대적으로 높은 칼슘 및 비타민 D 함량이 고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혼합물은 만삭아용 조제분유로 대체됩니다.

적절한 성장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분유의 양에는 충분한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지만 아기가 그 양을 먹을 수 있을 때까지는 종종 몇 주가 걸립니다. 그러므로 미숙아에게는 비타민 보충이 필요하다. 미숙아의 요구 사항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만삭아의 일일 요구 사항부터 진행됩니다. 미숙 신생아의 경우 특정 비타민의 필요성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비타민 C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대사에 관여하고, 지방 흡수가 부족하고 대변으로 손실되어 비타민 D, 기타 지용성 비타민 및 칼슘의 흡수가 감소합니다. 미숙아는 구루병에 걸리기 쉽지만 비타민 D 섭취량은 일반적으로 하루 1500IU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엽산은 DNA 형성과 세포 증식에 ​​필수적입니다. 미숙아의 경우 혈청과 적혈구 수치가 첫 주에 감소하고 2~3개월 동안 낮게 유지되므로 성장과 헤모글로빈 수치에 명확한 유익한 효과는 없지만 보조금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비타민 E 결핍은 드물지만 용혈 증가를 동반하며 미숙아, 특히 심한 경우에는 비타민 E 결핍을 초래합니다. 항산화제인 비타민 E는 적혈구 막에 있는 고급 다중불포화지방산의 과산화를 방지합니다. 만삭아에게 이러한 산이 함유된 분유를 먹일 때 막 내 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합니다. 비타민 A 보충은 미숙아의 BPD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출생시 미숙아는 출생 후 적혈구 생성 억제로 인한 생리적 빈혈이 있으며, 자궁 내 철분 축적이 부족하여 악화되고 만삭아에 비해 빠른 성장으로 인해 혈액량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가 나타납니다. 더 일찍 그리고 더 중요합니다. 그러나 미숙아라도 출생 시 체중이 두 배로 증가하거나 철분 보충이 필요할 때(2ml/kg/일) 스리트로포이에틴을 투여받기 시작할 때까지 체내에 충분한 철분이 있습니다.

적절한 영양 섭취로 조기 대변은 하루에 1-6회 발생하며 농도는 반액체입니다. 걱정해야 할 것은 표준으로 인정되는 특정 배변 빈도와의 편차가 아니라 묽은 변의 출현 또는 명백하거나 숨겨진 혈액 혼합물, 과도한 역류 또는 구토입니다. 일반적으로 미숙아는 수유 직전에 불안을 나타내다가 수유 후에는 진정되어 잠이 듭니다.

기사를 준비하고 편집한 사람: 외과의사
관련 출판물